1. 서 론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 D도시에 위치한 건물형 전통시장을 현장 조사하여 평면형태와 내부배치 유형을 시장규모별로 분류하고, 일반유형을 도출하여, 규모에 따르른 평균 면적과, 평균 점포개수 및 평균 점포면적을 도출하였다.
2) 건물형 전통시장 규모별 화재시뮬레이션(FDS)을 실시하여 실내기온 변화를 도출하고, 주요구조부 온도를 산출한 후, 구조한계온도 649 °C을 기준으로 구조체한계시간(Structure Limted Temperature, SLT)을 도출하였다.
3)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Pathfinder ver. 2018을 이용하여 건물형 전통시장 규모에 따른 이용자의 피난소요시간(Required Safety Egress Time, RSET)을 도출하고 구조체한계시간(SLT)과 비교하여 피난안전성을 분석하였다.
4) 건물형 전통시장 주요구조부에 내화몰탈 보강 [ALT-1∼3]: 0.01∼0.035 m을 실시한 후, 피난안전성 평가하였다.
2. 내화성능기준 및 전통시장의 현황
2.1 국내외 내화성능기준
2.2 국내 건물형 전통시장의 현황
3. 화재발생시 건물형 전통시장의 실내기온과 주요구조부 온도
3.1 화재 시뮬레이션 입력조건
Table 2
Table 3
3.2 화재발생시 건물형 전통시장 규모별 실내기온 및 구조체 온도변화
Table 4
Temp [°C] | Small | Medium | Medium-large | Large |
---|---|---|---|---|
900 | 272 | 419 | 626 | 778 |
750 | 257 | 398 | 574 | 766 |
600 | 232 | 360 | 560 | 759 |
450 | 193 | 325 | 522 | 754 |
300 | 174 | 284 | 493 | 749 |
150 | 78 | 252 | 458 | 742 |
20 | 61 | 173 | 450 | 726 |
Table 5
Division | Thermal Conductance [W/mㆍk] | Specific Heat [J/kg°C] |
Block | 0.96 | 750 |
Insulation | 0.036 | - |
Concrete | 2.4 | 880 |
Plasterboard | 0.19 | 1134 |
4. 피난안전성 평가를 통한 주요구조부 보강 제안
4.1 건물형 전통시장 규모별 피난소요시간(RSET) 도출
Table 7
4.2 주요구조부 보강 제안
Table 9
Temp [°C] | 30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00 |
---|---|---|---|---|---|---|---|---|
W/mㆍk | 0.034 | 0.034 | 0.020 | 0.05 | 0.05 | 0.05 | 0.059 | 0.068 |
J/kg°C | 1500 |
4.2.1 구조체 내화몰탈 0.01m 보강시 [ALT-1]
Table 10
4.2.2 구조체 내화몰탈 0.025m 보강시 [ALT-2]
Table 11
4.2.3 구조체 내화몰탈 0.035m 보강시 [ALT-3]
Table 12
4.3 보강 제안에 따른 시장 규모별 피난안전성 평가
Table 13
5. 결 론
1) 국내의 내화설계는 건물용도, 층수와 높이만을 고려해서 내화시간을 제시하고 있으나. EURO-CODE의 경우 하중지지력, 차염성 및 차열성 3가지 기준을 기본으로 주요구조부의 용도별 요구 조건을 고려한 성능기반 설계가 반영되어있어 구조물의 종류와 용도 및 규모에 따라 적절한 내화설계를 실시하고 있다.
-
2) 화재 시뮬레이션 FDS를 실시하기 위하여 건물형 전통시장의 규모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를 선정하였다. 화재 시나리오는 화재발생은 1층 건축물의 중앙에서 발생하여 급격하게 연소 확대되는 상황이며, 점포마다 1.8 m 높이로 가연성의 상품이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실내기온을 도출한 후, 열전달 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요구조부 온도를 산출하고, 피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도출한 피난소요시간(RSET)과 구조한계온도 649 °C에 도달하는 구조체한계시간(SLT)과 비교하여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을 때, 피난소요시간(RSET)이 구조체한계시간(SLT)보다 크게 나타나 화재발생시 피난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으므로, 내화보강을 실시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3) 주요구조부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주요구조부인 기둥, 바닥 및 외벽에 내화 몰탈을 0.01∼0.035 m 도포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구조체의 온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소형시장과 중형시장의 경우 내화보강이 0.025 m 이상하였을 때 구조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대형시장과 대형시장은 0.035 m이상 내화 보강시 구조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건물형 전통시장에 화재가 빈번히 발생할 우려가 예상되며 이를 성능위주소방설계를 반영한 주요구조부 내화 보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