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서 론
2.본 론
2.1 서울소방재난본부의 드론 도입 현황
Table 1.
Table 2.
Model (Manufacturer) |
Versus | Specification |
---|---|---|
Swid119 (Nes & Tec / Korea) | 7 | |
Inspirel (DJI / China) | 2 | |
Blue Eye 119 (Huins / Korea) | 4 | |
Phantom4 (DJI / China) | 16 | |
Mavik2 (DJI / China) | 2 |
2.2 서울소방재난본부의 드론 활용 임무분야
2.2.1 탐색(Search)
2.2.2 정보취득(Information collection)
2.2.3 위험 상황 감시 및 정보전달
2.3 소방드론의 현장활동 임무별 효율성 분석
Table 4.
2.3.1 산악지역 수평검색 임무의 소방드론 효율성
Table 5.
Sortation | Location | Route | Search |
Fire Manpower |
||
---|---|---|---|---|---|---|
M* | G** | S*** | ||||
Rescue request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ble 6.
2.3.2 고층건축물 수직검색 임무의 소방드론 효율성
Table 7.
Sortation |
Floor Arrival Time (‘min” s) |
|||||
---|---|---|---|---|---|---|
10F | 20F | 30F | 40F | 50F | 60F | |
Not Wearing Equipment | 1’37” | 3’45” | 6’08” | 8’28” | 10’33” | 13’05” |
Equipment Wear | 2’33” | 5’28” | 8’29” | 11’58” | 15’45” | 19’38” |
Table 8.
Sortation | Vertical movement speed | Condition | |
---|---|---|---|
Swid119 | 4 m/s | General flight | |
Rescuers | under 30 years of age | 0.15 m/s | 21 kg Equipment wear |
under 40 years of age | 0.15 m/s | ||
under 50 years of age | 0.14 m/s |
2.3.3 화재출동 현장정보 취득 임무의 효율성
Table 9.
2.3.4 야간 산불 화점 발견시간 단축
Table 10.
3.결 론
1) 수평검색 시에는 드론 1대가 100명의 소방대원 임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직검색 임무 시에는 소방대원 보다 최소 16배∼18배 빠른 속도로 이동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야간 산불 화재에서는 소방대원이 화점을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대비 최대 1/30의 시간이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재난현장 상황정보를 파악해야 하는 소방대원은 인간의 시야각 제한과 장애물에 의한 가시권 방해요인이 존재한다. 공중에서 360도 촬영이 가능한 소방드론은 시야범위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정보의 획득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운용 가능한 시간 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장시간 활동에 따른 체력한계 등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이동성, 획득성, 지속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은 물론, 소방드론을 임무에 투입하여 취득한 정보에 따라 실제 소방대원의 임무조정방식 또한 결정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방드론의 실제 활용사례 기반 정량적 가치평가는 효율적 재난대응활동을 수행하는데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3) 대응시간은 피해 양상과 규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시간적 지표로 효율성을 판단한다. 그동안 5 min 도착률 향상을 위해 소방차 길 터주기 등 시민들의 인식개선과 도로 인프라 개선, 자동신호제어 시스템 시범도입 등 물리적 환경개선에 집중하여 5 min 도착률이 92.1%(17)에 도달하였다. 5 min 도착률을 현재 이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내 120여 개 안전센터에 자동항법장치가 탑재된 드론 시스템 도입 등 기존 정책과는 차원이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드론은 공중을 이동경로로 하기 때문에 도로를 이용해 이동하여야 하는 소방대원과 비교해 이동성 측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현장대응의 신속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드론 등 첨단기술의 적극 활용을 통해 전통적 소방장비와 소방대원이 보유하고 있는 임무수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